맨위로가기

헌드레드 아일랜드 국립공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헌드레드 아일랜드 국립공원은 필리핀 팡가시난주 알라미노스 시에 위치한 국립공원이다. 약 200만 년 전에 형성된 카르스트 지형으로, 해수면 하강으로 드러난 고대 산호와 파도의 침식 작용으로 형성된 버섯 모양의 섬들을 포함한다. 1940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 지방 분권화 프로그램에 따라 행정, 관리, 운영 권한이 필리핀 관광청에서 알라미노스 시 정부로 이관되었다. 다양한 조류, 어류, 갑각류 등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며, 케손 섬, 가버너 섬 등 여러 주요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국립공원 - 탈호
    필리핀 루손섬 탈 화산의 칼데라 호수인 탈호는 칼데라 내 화산섬과 화구들을 품고 있으며 33차례의 분화 기록과 독특한 생태계를 지니고 있지만, 외래종 유입과 화산 활동, 환경 논란 등의 문제에 직면한 관광지이다.
  • 필리핀의 국립공원 - 탈 화산
    필리핀 루손섬 바탕가스주에 있는 탈 화산은 유라시아판과 필리핀 이동대 간의 섭입 작용으로 형성된 활화산으로, 거대한 칼데라 내에 탈 호수와 화산섬이 있으며 잦은 화산 활동으로 지속적인 감시와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헌드레드 아일랜드 국립공원
기본 정보
헌드레드 아일랜드 국립공원
헌드레드 아일랜드 국립공원
위치필리핀
가장 가까운 도시팡가시난 주 알라미노스
좌표16° 12′ N, 120° 2′ E
면적1844 헥타르 (16.76 km2)
지정일1940년 1월 18일
관리 주체환경자원부
웹사이트www.hundredislands.ph
구성 요소루손
수역링가옌 만
섬의 총 개수123–124
주요 섬거버너 아일랜드
케손 아일랜드
칠드런스 아일랜드
명칭
현지어(카풀로-풀로안 또는 타이터이-바케스)
영어Hundred Islands National Park (헌드레드 아일랜드 국립공원)

2. 지질

헌드레드 아일랜드 국립공원 지도


이 섬들은 카르스트 또는 석회암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3] 약 200만 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로는 내륙 깊숙이까지 뻗어 있는 고대 산호가 과거 바다 밑바닥을 이루던 지역이었다.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이 산호 지형이 지표면으로 드러나 섬이 되었다. 일부 섬들이 가진 독특한 버섯 모양은 파도침식 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3. 역사

1940년 1월 18일, 마누엘 L. 케손 대통령은 대통령령 제667호를 통해 16.76km2 면적의 이 지역을 필리핀 국민의 복지와 즐거움을 위한 헌드레드 아일랜드 국립공원(HINP)으로 지정하였다.[4] 이후 1962년 6월 22일에는 공화국 법 제3655호에 따라 HINP의 보존, 개발, 관리를 전담하는 헌드레드 아일랜드 보존 개발청(HICDA)이 설립되었다.[5]

55


1974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시기에는 공원 관리 권한이 HICDA에서 필리핀 관광청(PTA)으로 이관되었으며,[6] 1982년에는 루캅 만과 주변 해안 지역을 포함한 공원 구역이 PTA 관리 하의 관광 구역 및 해양 보호 구역으로 선언되었다.[8][9]

2001년에는 지질 과학 국가 위원회에 의해 국립 지질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10] 2005년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은 행정 명령 제436호를 통해 지방 분권화 정책의 일환으로 HINP의 관리 및 운영 책임을 팡가시난주 알라미노스 시 정부로 이관하였다.[10]

3. 1.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정권 시기 (1974-1982)

1974년 10월 2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은 대통령령 제564호 제35조를 통해 루캅 만을 포함한 공원의 관리 권한을 기존의 헌드레드 아일랜드 보존 개발청(HICDA)에서 필리핀 관광청(PTA)으로 이관하였다.[6]

이후 1982년 4월 27일에는 대통령령 제2183호에 따라 루캅 만과 시티오 텔방 동쪽, 시티오 레쿠도 서쪽으로 시작하는 해안 지역을 포함한 국립공원 전체가 필리핀 관광청(PTA)의 관리 하에 있는 관광 구역 및 해양 보호 구역으로 선언되었다.[8] 같은 해 11월 6일에는 대통령령 제2237호가 제정되어, 이전에 해양 어업 다목적 농장(1974년 6월 21일 대통령령 제1282호에 의해 설립) 용도로 확보되었던 토지 구획이 철회되고 개발을 위해 필리핀 관광청의 관리 및 감독 하에 놓이게 되었다.[9]

3. 2.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정권 시기 (2005)

2001년, 지질 과학 국가 위원회는 이 지역을 국립 지질 기념물로 지정했다. 이후 2005년 6월 21일,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 대통령은 행정 명령 제436호를 통해 헌드레드 아일랜드 국립공원(HINP)의 관리 및 운영 책임을 필리핀 관광청(PTA)에서 팡가시난주 알라미노스 시 정부로 이관하였다. 이는 1991년 제정된 지방 정부법 (공화국 법 제7160호) 및 필리핀 헌법에 명시된 지방 분권화 정책에 따른 조치였다.[10] 이관에는 공원 내 모든 활동, 시설, 개선 사항에 대한 관리 책임이 포함되었다.[10]

4. 생태

헌드레드 아일랜드 국립공원의 많은 섬들은 험준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지형 덕분에 자연 식생이 잘 보존되어 있다. 해변 숲 종인 ''터미널리아''와 아고호(''Casuarina equisetifolia'') 등이 풍부하며, 몰라베(''Vitex parviflora''), 말라이크모(''Celtis philippensis'') 등 다양한 나무들이 자란다. 일부 외래종 식물도 발견된다.[3]

이곳의 야생 동물로는 필리핀 오리, 필리핀 매사촌, 필리핀 휘파람새 등 다양한 조류와 환도상어, 엔젤피시 같은 어류, 그리고 게와 같은 갑각류가 서식한다.

섬의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2010년에는 해양 환경 자원 재단(Marine Environment and Resources Foundation Inc.)이 네덜란드 정부의 지원을 받아 '사기프 링가옌 만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이 프로젝트는 섬의 식물동물 자원을 평가하고 목록화하여, 지역 정부의 환경 모니터링 프로그램 수립을 지원했다.[11]

4. 1. 식물

많은 섬의 식생은 섬의 험준하고 접근하기 어려운 지형 덕분에 잘 보존되어 있다. ''터미널리아''와 아고호(''Casuarina equisetifolia'') 같은 해변 숲 종이 섬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 이 외에도 몰라베(''Vitex parviflora''), 말라이크모(''Celtis philippensis''), 그리고 석회암이나 카르스트 지형의 숲에서 주로 자라는 사블롯(''Litsea glutinosa'') 등이 풍부하게 서식한다. 몇몇 외래종도 존재하는데, 불꽃나무(''Delonix regia''), 칼라추치(''Plumeria acuminata''), 아티스(''Annona squamosa''), 시네구엘라스(''Spondias purpurea''), 삼팔록(''Tamarindus indica''), 이필이필(''Leucaena leucocephala'') 등이 있다. 작은 섬들에서는 콩과 식물(Fabaceae)과 무화과(Ficus) 종도 기록되었다.[3]

2010년에는 해양 환경 자원 재단(Marine Environment and Resources Foundation Inc.)이 네덜란드 정부의 지원을 받아 '사기프 링가옌 만 프로젝트'를 수행했다. 이 연구는 섬의 육상 야생 동물 자원이 부족하다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섬의 식물동물을 평가하고 목록을 작성하여 시 정부가 섬의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환경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11]

4. 2. 동물

백 섬의 박쥐


2010년 네덜란드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해양 환경 자원 재단(Marine Environment and Resources Foundation Inc.)이 시행한 사기프 링가옌 만 프로젝트는 섬의 육상 야생 동물 자원 부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섬의 식물동물을 평가하고 목록화하여, 시 정부가 섬의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환경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수립하는 데 기여했다.[11]

이곳의 야생 동물로는 필리핀 오리, 흰귀 갈색 비둘기, 필리핀 매사촌, 필리핀 뻐꾸기, 필리핀 휘파람새, 우아한 박새, 레몬 목잎새, 회색등 재봉새와 같은 조류가 있으며, 환도상어, 엔젤피시, 나비고기와 같은 어류, 그리고 유령 게와 은둔 게와 같은 갑각류가 서식한다.

5. 주요 섬


  • 케손 섬
  • 가버너 섬
  • 칠드런 섬
  • 마르코스 섬
  • 조개 섬
  • 카가우 섬
  • 파파이야 섬
  • 바징 섬
  • 로페스 섬
  • 카세드릴 섬

참조

[1] 서적 Mindoro and Lingayen Liberated: The Deliverance of the Philippines from the Japanese in WWII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21-03-08
[2] 뉴스 Hundred Islands – for real and in 3-D https://www.philstar[...] 2020-07-09
[3] 간행물 Plant diversity assessment of karst forest formations in the Hundred Islands National Park https://www.academia[...]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2022-01-01
[4]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667, s. 1941 https://www.official[...] 1941-01-18
[5]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3655 https://issuances-li[...] "[[Senate of the Philippines]]"
[6]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ree No. 564, s. 1974 https://www.official[...] 1974-10-02
[7] 뉴스 Tourists urged to observe rules of Pangasinan pilgrimage site https://www.pna.gov.[...] 2019-03-29
[8]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2183, s. 1982 https://www.official[...] 1982-04-27
[9] 웹사이트 Proclamation No. 2237, s. 1982 https://www.official[...] 1982-11-06
[10]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436, s. 2005 https://www.official[...] 2005-06-21
[11] 웹인용 Study finds no frogs in Hundred Islands http://newsinfo.inqu[...] 2010-08-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